Welcome to the Gospel Cafe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하나님의 마음을 전하는 '복음 다방' 입니다

728x90

말씀 묵상/바울서신 44

나는 '오네시모'입니다.

빌레몬서는 신약성경에서 짧은 성경 중 하나이다. 1장으로 끝나며 그것도 25절로 종결이 된다. 주된 요지는 빌레몬의 노예였으나 도망쳤던 오네시모가 로마에서 바울이 선포하는 복음을 듣고 회심하여 바울의 아들이 되었다. 그리고 바울은 이 오네시모를 다시 빌레몬에게 돌려보낼 테니 용서해 주고, 종이 아닌 형제로 대해달라고 당부하는 편지를 썼다. 이런 짧고 생뚱맞은 편지가 성경의 일환으로써 이렇게 자리를 잡고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우선, 빌레몬서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살펴보자. 바울은 로마에서 가택연금으로 갇혀있을 때 이 편지를 오네시모의 주인이었던 빌레몬에게 보냈다. 빌레몬은 바울을 통해 회심한 골로새 교회의 지도자였다. 이런 빌레몬의 집에서 금품을 훔쳐서 로마로 도망간 이가 바로 빌레몬의 노예였던 오네시모이..

복음을 전하는데 있어서 민족성이 중요할까?

어느 민족이나 그 민족의 특성을 나타내는 '민족성'이 있기 마련이다. 이스라엘 민족은 흔히 선민사상을 갖고 있다고 하며, 미국인들은 개인주의가 강하다고 한다. 영국은 신사의 나라로 유명하며, 남미 사람들은 술과 마약, 그리고 축구에 미쳐있다고 한다. 일본인들은 겸손하고 예의가 바르며, 중국인들은 시끄럽다. 이렇게 각 민족별로 민족성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이나 국가로 선교를 가거나 사역을 하게 되면 그 민족의 민족성을 미리 공부하고 어떻게 복음을 전할지 전략을 수립하곤 한다. 그렇다면 디도가 사역했던 그레데섬 사람들의 민족성은 어땠을까? 그레데인 중의 어떤 선지자가 말하되 그레데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며 악한 짐승이며 배만 위하는 게으름뱅이라 하니 이 증언이 참되도다 그러므로 네가 그들을 엄히 꾸짖..

하나님 나라의 교정직 공무원

디모데후서 3장의 시작과 끝에 집중해보고자 한다. 우선, 디모데후서 3장의 시작은 이렇다.너는 이것을 알라 말세에 고통하는 때가 이르러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며 돈을 사랑하며 자랑하며 교만하며 비방하며 부모를 거역하며 감사하지 아니하며 거룩하지 아니하며 무정하며 원통함을 풀지 아니하며 모함하며 절제하지 못하며 사나우며 선한 것을 좋아하지 아니하며 배신하며 조급하며 자만하며 쾌락을 사랑하기를 하나님 사랑하는 것보다 더하며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니 이 같은 자들에게서 네가 돌아서라 [디모데후서 3 : 1~5]바울은 말세에 고통하는 때, 즉, 마지막 때 사람들의 모습을 여과 없이 나열하였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그저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날의 모습과 대동소이하다. 아니, 정확히 일치한다고 ..

삶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볼 것인가?

사람들은 인간의 삶을 다양한 것에 빗대어 표현하곤 한다. - 인생은 마라톤이야. 길게 보고 꾸준히 전진해야 해! - 인생은 한방이야! 크게 하나 터뜨려보자고! - 인생은 해가 뜨고 지는 것처럼 사이클이 있는 법이야. - 남을 짓밟지 않으면 내가 짓밟히는 게 인생이야! - 삶은 전쟁이야! 정신 차려! 이처럼 우리네 삶은 멋있는 말, 교훈적인 말, 현실적인 말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그렇다면 바울은 자신이 죽기 직전에 믿음의 아들인 디모데에게 어떤 삶의 관점을 물려주고 싶었을까?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For I am already being poured out like a drink offering, and the time has come for my departu..

어머니의 믿음 (BGM. 하기오스 - 가정의 기도)

BGM. 가정의 기도(하기오스) 디모데는 바울이 인정한 신앙인이다. 오죽하면 디모데를 향해 바울은 '믿음 안에서 참 아들(디모데전서 1장 2절)'이라고 표현했을까. 그렇다면 디모데는 어떻게 이런 믿음을 갖게 되었을까? 그 정답은 디모데후서 1장 5절에 명확하게 나와있다. 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 로이스와 네 어머니 유니게 속에 있더니 네 속에도 있는 줄을 확신하노라 [디모데후서 1 : 5] 디모데는 외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의 신앙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 말씀을 읽고 "우리 외할머니와 어머니의 신앙이 로이스와 유니게 같지 않으니 내가 이 모양으로 신앙생활을 하는 거였군..."정도의 생각을 하고 있는가? 이 구절을 곰곰이 살펴보라. 이상한 ..

장로님을 존경합시다!

디모데전서 5장은 바울이 디모데에게 교회가 어떻게 성도들을 대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 중에서 장로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 오늘날의 상황과 비교해보고자 한다.잘 다스리는 장로들은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그리할 것이니라 [디모데전서 5 : 17] 교회의 일을 잘 처리하는 장로들은 배로 존경하라고 한다. 교회에는 정말 수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모두가 초대교회로 돌아가자고 외치면서도 자신이 속한 곳이 조금이라도 불이익을 받으면 잠자는 호랑이의 코털을 뽑은 것처럼 불같이 먹잇감 사냥에 나서는 지경이다. 초대교회가 아닌 초대(형) 교회를 목표로 하고 있는 듯한 합리적인 의심을 갖게 만든다. 이런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 교회 장로님을 모시고 왔다고 생각해..

좋은 일꾼의 조건

수많은 기독교인들은 이런 다짐을 한다. "주님의 일꾼이 되겠습니다!"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일꾼이 되겠습니다!" "나를 사용하여 주시옵소서!" 이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면 어떤 대답이 되돌아올까? "어떤 일꾼이 좋은 일꾼입니까?" 그저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 정도의 대답을 하지 않을까? 아니면 야망이 있는 사람이면 "성도수 20,000명 이상의 대형교회 목사" 정도의 대답을 할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바울은 이 질문에 어떻게 대답을 하고 있을까?네가 이것으로 형제를 깨우치면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일꾼이 되어 믿음의 말씀과 네가 따르는 좋은 교훈으로 양육을 받으리라 If you point these things out to the brothers, you will be a good minist..

여자는 자고로 정절을 지켜야지!

누군가가 "여자는 자고로 정절을 지켜야지!"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꼰대' 2글자로 확실한 이미지 메이킹이 될 것이다. 이런 험난한 길을 굳이 선택한 성경인물이 있다. 아니, 이런 험난한 길을 가라고 자신이 아끼는 디모데에게 굳이 편지까지 쓴 인물이 있다. 그는 바로 '바울'이다. 또 이와 같이 여자들도 단정하게 옷을 입으며 소박함과 정절로써 자기를 단장하고 땋은 머리와 금이나 진주나 값진 옷으로 하지 말고 [디모데전서 2 : 9] 오늘날은 '정절'과는 거리가 먼 시대가 되어버렸다. 셀 수 없이 많은 연애경험은 필수적이며, 결혼 전 성관계는 당연한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고등학생끼리 성관계를 해서 임신하고 아이를 출산한 이들을 다루는 TV프로그램도 공공연하게 방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혼..

'마지막 때'를 글로 배웠어요

흔히 자녀를 육아할 때 TV시청을 제한하거나 TV자체를 '악'으로 여기고 TV 없이 생활하는 이들이 있다. 이들은 자녀가 TV대신 책을 보면서 지식을 쌓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런 선택을 한다. 어느 정도는 맞는 이야기이다. 자녀들을 좋은 대학교에 진학시킨 부모들 중 TV를 없애고 책을 많이 읽혔다는 이들이 있기 마련이다. 이런 부모들의 말은 육아를 위해 집에 TV를 없애는 강력한 근거가 되기도 한다. 'TV'와 '책'중에서 학생들이 봐야 하는 것을 고르라고 한다면 당연히 '책'을 선택한다. 왜냐하면 책을 보며 그 안의 글을 읽는 사람은 머릿속으로 그 장면을 상상하기 때문에 흔히 상상력도 좋아지고 생각하는 습관이 생긴다고 한다. 이와 같이 책을 선택할만한 좋은 이유들은 넘쳐난다. 반대로 TV는 정해진 내용..

게으른 자. Those who are idle.

데살로니가전서 5장에는 데살로니가교회의 성도들을 향한 다양한 권면의 모습이 나열되어 있다. 이 모습 하나하나가 이 마지막 때를 살아가는 우리를 향한 권면임이 뼈저리게 느껴진다. 그중에서도 한 단어가 눈에 띈다.또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And we urge you, brothers, warn those who are idle, encourage the timid, help the weak, be patient with everyone. [데살로니가전서 5 : 14] 이 말씀에서 "게으른 자들을 권계 하며"라고 바울은 선포하고 있다. 참고로 '권계'는 '훈계' 또는 '경고'이다. '게으른 자'에..

보조금 중독자들

데살로니가전서는 데살로니가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임박한 종말 사상으로 신앙의 혼란을 겪고 있는 성도들을 위해 바른 재림관과 종말관을 가르칠 목적으로 기록된 교리서이다. 이런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의 특징 중 한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말씀이 눈에 띈다. 또 너희에게 명한 것 같이 조용히 자기 일을 하고 너희 손으로 일하기를 힘쓰라 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to mind your own business and to work with your hands, just as we told you, [데살로니가전서 4 : 11]이 말씀의 영어 성경을 직역하면 이렇다.우리가 너희에게 이야기한 것과 같이, 조용한 삶을 이끄는 야망, 너의 일을 신경 쓰는 야망 (남의 ..

믿음의 소문

데살로니가교회는 사도바울의 2차 선교여행 때 설립한 교회로, 데살로니가교회를 향한 바울의 애정은 매우 크고 뜨거웠다. 이런 데살로니가교회를 향한 바울의 칭찬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우리는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 [데살로니가전서 1 : 8]하나님을 향한 데살로니가교회 믿음의 소문이 모든 곳에 퍼졌기에 바울은 특별히 더 이야기할 거리가 없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좋은 칭찬이 있을까? 만약에 바울이 이 시대에 살아있고, 하나님을 향한 한국 교회의 믿음의 소문이 전 세계에 퍼졌기에 더 이상 자신이 전할 말이 없다고 했다면 어떨 것 같은가? 그렇다면 실제로 우리네 믿음의 소문은 어떤가? 데살로니가..

728x90